CHALLENGER Daniel Arsham
시간과 기억, 그리고 일상과 비일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특한 시각예술가 다니엘 아샴. 그의 작품 전반에는 ‘시간’이라는 주제가 끊임없이 흐른다. 조각, 그림, 드로잉을 통해 일상에서 무심히 흘려보내는 시간의 의미를 새롭게 탐색하고, 시간 속에서 우리가 남기는 흔적과 경험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다니엘 아샴은 관객이 일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도록, 익숙한 것도 낯설게 바라본다. 그렇게 그는 예술의 경계를 확장한다.
이러한 작업의 연장선에서 다니엘 아샴은 ‘오브젝트 포 라이프(Objects IV Life)’라는 프로젝트로 패션이라는 새로운 표현 방식에 도전했다. 이 프로젝트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그의 깊은 고민을 담아내며, 재고 데님과 재활용 소재 등을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옷을 디자인하는 데 집중했다. 입는 사람의 흔적과 시간이 옷에 켜켜이 쌓이도록 의도하여, 패션을 통해 일상과 시간의 관계를 다시 성찰하게 한다. 다니엘 아샴의 작업으로 만들어지는 낯설고도 새로운 가치에 대해 자세히 들어보았다.
Daniel Arsham is a unique visual artist who traverses the boundaries of time and memory, as well as the ordinary and the extraordinary. Throughout his work, the theme of “time” flows continuously. Through sculpture, painting, and drawing, he reinterprets the meaning of time that often slips by unnoticed in daily life, delicately capturing the traces and experiences we leave behind as time passes. Arsham encourages viewers to see the familiar from an unfamiliar perspective, helping them gain new insights beyond the everyday. In doing so, he expands the boundaries of art.
As an extension of this artistic journey, Arsham has ventured into fashion through a project called Objects IV Life. This project reflects his deep commitment to sustainability, featuring the use of deadstock denim and recycled materials. In particular, he focuses on designing clothing that changes naturally over time. Each piece is meant to accumulate the wearer’s traces and the passage of time, encouraging 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and time through fashion. We took a closer look at the unfamiliar yet fascinating values embodied in Daniel Arsham’s work.
Q 작품 전반에서 ‘시간’이라는 주제가 계속해서 함께해요.
Time seems to build a narrative thread throughout your work.
A 제가 만드는 조각, 그림, 드로잉 대부분은 ‘시간’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바라보는 데서 출발해요. 우리가 시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분류하고 지나가는지를 다시 생각해보게 하죠. 삶은 결국 시간을 어떻게 경험하느냐에 따라 정의되니까요. 옷도 마찬가지예요. 우리가 입고, 생활하면서 그 안에 시간의 흔적이 남죠.
A lot of the sculptural work, paintings, and drawings I make are about rethinking our perspective on time—how we move through it and how we categorize it. We define our lives by our experience of time. And garments—the things we wear—also carry traces of that experience. We inhabit them, and they hold the marks of the time we've passed through.
Stairs in the Labyrinth (출처 : Daniel Arsham)
Bonsai Speaker (출처 : Daniel Arsham)
Q 시간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사람들이 전혀 예상 못 한 경험을 하게 만드는 걸 좋아하시는 것 같아요.
Your work on time also focuses on creating unexpected experiences for your audience.
A 제 작업의 많은 부분은 우리가 익숙하게 아는 것들을 새롭게 상상해보는 데 있어요. 일상에서 보는 무언가를 천 년 후의 시점에서 다시 그려보는 거죠. 그렇게 하면 일상에서 벗어나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시야가 생겨요.
So much of my art practice is about reimagining things we already know. It involves taking something we might see in our everyday lives and imagining it a thousand years into the future. This process brings us out of our everyday experience and gives us a new perspective on everyday life.
Q 그런 점에서 오브젝트 포 라이프라는 브랜드를 통해 패션에 도전하신 것도 또 하나의 새로운 시도였던 것 같아요. 옷이라는 매체가 가진 특별한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Another unexpected experience is that you entered the world of fashion through ‘Objects IV Life’. What do you think makes clothing such a special medium?
A 패션은 다른 예술 형식과 달라요. 예를 들면 예술 작품이나 건축, 가구를 보는 것과는 다르게, 옷은 입는 순간 시선이나 태도, 감정, 정체성까지 바뀌잖아요. 마치 나만의 보호막을 입는 것처럼요. 이처럼 옷이 외적인 변화를 만들어줄 수 있다는 점이 정말 흥미로워요.
Fashion is different because, unlike looking at a piece of art, architecture, or furniture, putting on clothing can change your whole outlook, your persona, the way you feel, and the way you carry yourself. It’s like a forcefield you place around yourself, and I love the idea that clothing can truly change your outward character.
다니엘 아샴의 예술적 실천을 확장한 그의 의류 라인 ‘오브젝트 포 라이프(Objects IV Life)’ 의 데뷔 컬렉션 Chapter 001. 데드스톡과 지속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었다. (출처 : 오브젝트 포 라이프)
An extension of Arsham's artistic practice, the debut Chapter 001 collection of his apparel line Objects IV Life is made from deadstock and sustainable materials. (Source : Objects IV Life)
Q 오브젝트 포 라이프가 탄생하게 된 배경이 궁금해요.
Could you tell us the story behind ‘Objects IV Life’?
A 이 프로젝트는 지속가능성을 중심에 둔 작업이었어요. 재고 데님을 활용했고, 모든 소재는 기존에 존재하던 것이었어요. 심지어 버클도 재활용 금속으로 만들었고요. 패션계에서 지속가능성이 자주 언급되지만, 새로운 것을 만들기보다 기존의 것을 어떻게 재해석할 수 있는지 고민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Objects IV Life was a project centered around sustainability. We used deadstock denim, and all the materials were pre-existing. There was no new fabrication. Even the buckles were made from recycled metals and repurposed items. There's a lot of obviously talk in the fashion universe about sustainability. But sometimes it should be more about how we are rethinking things that are already existing, not about how we’re making new things.
Q 지속가능성을 굉장히 구체적으로 고민하셨던 것 같아요. 실제로 옷의 디자인에선 어떤 방식으로 풀어내셨나요?
How did you embed sustainability into the design of Objects IV Life?
A 오브젝트 포 라이프의 의도 중 하나는 시간이 지나면서 옷이 자연스럽게 변화하도록 만드는 것이었어요. 노출된 금속으로 인해 원단이 변색될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단추나 버클, 잠금장치와 같은 부자재는 코팅을 전혀 하지 않았지만, 그 방식이 마음에 들었어요. 보통 옷이 늘 완벽한 상태로 유지되기를 바라잖아요. 드라이클리닝을 하고 나면 처음과 똑같은 모습으로 돌아오고요. 하지만 저는 입는 사람의 흔적이 쌓이면서 옷이 그 사람의 개성을 담길 바랐어요. 이처럼 오브젝트 포 라이프는 시간의 자취를 드러내는 옷을 만드는 데 무게를 실었어요.
Part of the intention behind Objects IV Life was to design the garments, buckles, clasps—every material—so that they would actually age over time. None of the buttons were sealed; they were made of exposed metal, which might even discolor the fabric underneath. But I liked that idea. Normally in fashion, we tend to imagine things as needing to remain perfect—they go to the dry cleaner and come back exactly the same. Objects IV Life was about creating something that would truly reflect the character of the person wearing it, and show signs of age.
예술가의 작업과 일상에 맞춰 워크웨어의 전통적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내구성과 아름다운 에이징을 고려해 완성한 오브젝트 포 라이프의 Ch.003 컬렉션. (출처 : 오브젝트 포 라이프)
Objects IV Life Ch.003 collection reinterprets traditional workwear designs for artists’ work and daily life, crafted with durability and beautiful aging in mind. (Source : Objects IV Life)
몰스킨(Moleskin)과 카센티노(Casentino) 원단은 아이코닉한 Objects 워크 부츠에 적용되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색되고 녹슬도록 의도된 무코팅 금속 토캡이 특징이다. (출처 : 오브젝트 포 라이프)
The moleskin and Casentino fabrics are further utilized in the iconic Objects work boot, featuring the uncoated metal toecap intended to patinate and change color as it ages. (Source : Objects IV Life)
Q 예상치 못한 실수나 실패가 오히려 창의적인 돌파구가 되곤 한다고 하셨는데, 오브젝트 포 라이프 작업 중에도 그런 기억에 남는 도전이나 순간이 있었나요?
You’ve often shared that unexpected accidents often lead to creative breakthroughs. In building Objects IV Life were there any memorable breakthroughs?
A 지속가능한 방식을 적용하면서 맞닥뜨렸던 가장 큰 과제는, 일반적으로 새롭거나 잘 사용되지 않는 요소를 재현하는 일이었어요. 예를 들어 공장에 코팅 안 된 단추를 쓴다고 했을 때, 왜 그런 걸 쓰냐고 이해를 잘 못 하더라고요. 단추 옆에 생기는 얼룩도 의도한 부분인데,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패션과는 다르니까요. 그래서 제작하는 분에게 “이것이 우리가 진짜 원하는 방식이다” 말하며 계속 설명하고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했어요.
I think the biggest thing with Objects IV Life in trying to use sustainable processes is that it’s very difficult to replicate things that are usually novel or not used. When we talked to the factory about using these buttons that were unsealed, they couldn’t understand why we would want to have a product like that. That stain you’re seeing next to the button is intentional. It’s something that goes against what we imagine fashion would be. So there’s a lot of education and conveying to our producers that this is the way we actually want it to be.
Q 최근에 지속가능한 한국의 업사이클링 브랜드 ‘래코드(RE;CODE)’와 협업하셨는데요, 두 브랜드가 어떻게 만나게 됐나요?
You’ve recently collaborated with a sustainable Korean brand RE;CODE. What was the philosophy and vision that shaped this project?
A 오브젝트 포 라이프도 소재에 대해 깊이 고민하는 프로젝트였어요. 사용되는 소재가 어떤 의미를 담을 수 있는지, 어떤 감각과 이야기를 전달할 수 있는지를 상상하는 일이었죠. 그런 면에서 래코드의 철학과 많이 맞닿아 있어요. 이미 존재하는 것에 새로운 목적과 생명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공감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Objects IV Life was always a project for me about thinking deeply about materials — what those materials can mean, how they can feel, and the stories they can tell. Knowing and understanding RE;CODE’s philosophy, it’s a very similar feeling of taking things that were preexisting and giving them some kind of new purpose and new life.
오브젝트 포 라이프를 국내 업사이클링 브랜드 래코드(RE;CODE)만의 철학인 해체와 장인 정신, 급진적 실험의 감성을 통해 새롭게 재해석한 래코드 X 다니엘 아샴 협업 콜렉션 (출처 : 래코드)
The RE;CODE x Daniel Arsham collaboration collection reinterprets OBJECTS IV LIFE through RE;CODE’s unique philosophy of deconstruction, craftsmanship, and radical experimentation. (Source: RE;CODE)
Q 특히 강조하고 싶었던 디자인 방향이나 창작 의도가 있었나요?
Could you share if there was any particular design direction or creative intention you wanted to emphasize in that collaboration?
A 래코드는 기존 제품을 재조합해서 새로움을 만드는 데 집중하는 브랜드예요. 이번 오브젝트 포 라이프와 협업에서도 소재를 자른 뒤 다시 조합하여 새로운 잠재성을 실험했죠. 마치 제 조각 작업처럼, 원래 의도와 다르게 소재를 다뤄본 셈이에요. 저는 기존 재고 자켓, 후디, 티셔츠를 제공했고, 그것을 새롭고 독특한 실루엣으로 재구성했어요. 여기에는 몸의 형태를 독특하게 감싸는 아이템이 많아요. 거기에 약간의 위트도 담겨 있고요. 예를 들어, 어떤 티셔츠는 등에 또 다른 티셔츠가 겹쳐 있기도 합니다. 저는 이런 접근이 패션을 좀 더 재미있고 자유롭게 바라보는 방식이라고 봐요.
RE;CODE is really about reusing products that were preexisting. Thinking about materials and layering. And with this collection with Objects, it was about cutting away and thinking about material possibilities. Much the same way that some of my sculptural work makes materials act in ways they shouldn't. I provided RE;CODE with a stock of preexisting jackets, hoodies and t-shirts and they were cut apart and reassembled into these new garments. Some of the garments have these unusual ways of shaping the body. There’s also a bit of humor in it. We have some of the t-shirts that have a second t-shirt layered on the back of it. I think it's a somewhat playful way of thinking about fashion.
본 컬렉션은 조각적인 실루엣과 분절된 형태를 통해 기능과 표현의 경계를 흐리며, 오브젝트 포 라이프의 소재의 해체와 재조합에서 비롯된 특별한 디테일로 완성되었다. (출처 : 래코드)
This collection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function and expression through sculptural silhouettes and segmented forms, completed with unique details derived from the deconstruction and recombination of Objects IV Life materials. (Source : RE;CODE)
지속 가능한 패션에 대한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싶다면?
CHALLENGER Daniel Arsham
EDITOR 홍승영 유혜정
2025.07.31
CIRCULAR CLUB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