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프 카페는 주말마다 오픈하니, 편하게 방문해 주세요.”
손으로 만드는 것이라면 뭐든 ‘푹 빠져서’ 하게 된다는 국내 기반의 디자이너 브랜드 ‘영앤생(Young n Sang)’. 올해 LVMH 프라이즈 세미파이널리스트에 당당하게 이름을 올리기도 한 영앤생의 홍영신, 이상림 디자이너가 수프 카페를 오픈한 배경에는 ‘예상치 못한 아름다움’을 좇는 이들의 삶의 태도가 있다. 마음과 손이 인도하는 대로 자유로이 작업하는 이들은, 상상과는 다른 전개로 흘러가더라도 ‘아름다움을 찾는 과정’이라 얘기한다. 열린 마음으로 제작하는 원단, 향초, 그리고 음식은 모두 영앤생 컬렉션의 기반을 다지는 영감의 행위다.
이태원 앤틱 가구거리에 위치한 쇼룸에서 만난 두 사람은 티 없이 가지런한 ‘올화이트’룩으로 우릴 반겨주었다. 덕분인지 이들 뒤에 걸려 있는 경쾌한 컬러감의 컬렉션이 돋보였다. 창작자의 겸손한 빈 캔버스가, 되려 창작물의 떳떳한 아름다움을 한층 더 빛냈다. 말보단 자세로 브랜드의 색채를 설명하고 있었다.
두 사람은 ‘지속 가능성’ 보다는 ‘에이지리스 웨어(Ageless Wear)’를 강조했다. 생소했지만, 개념은 간단했다. 세월이 지나도 계속 입고 싶고, 나이에 구애 받지 않는 디자인이어야 한다는 것. ‘오래 쓰고 입자’는 어쩌면 진부한 말을, 영앤생만의 언어로 풀어낸 것이다. 천천히, 깊게 졸인 스프와 닮아 있는 브랜드의 이야기를 파고들어봤다.
When we met the Youngshin and Sanglim of ‘young n sang’, who proudly made it to the semi-finalists of this year’s LVMH prize, at their showroom located in the Itaewon antique furniture street, Seoul, they welcomed us in immaculate, all-white outfits.
Perhaps because of that, the vibrant colors of their collection hanging behind them stood out even more. Their humble appearance, like a blank canvas, actually highlighted the proud beauty of their creations. Rather than through words, they were expressing the essence of their brand through presence and attitude.
The two emphasized ‘Ageless Wear’ rather than ‘sustainability’ as their core value. Though unfamiliar at first, the concept of Ageless Wear was simple: clothing you want to keep wearing as time passes, designs that are not bound by age. The oft-heard phrase “let’s wear things longer” is reinterpreted uniquely in young n sang’s language.
Q ‘영앤생’의 작명 비하인드가 궁금해요.
Tell us the story behind the brand’s name ‘young n sang’.
A 홍영신과 이상림의 중간 글자를 따서 ‘Young n Sang(영앤생)’으로 브랜드명을 지었어요.
We took the middle characters of Hong Youngshin and Lee Sanglim’s names to create the brand name, ‘Young n Sang.’
Q LVMH 세미 파이널리스트에 오르신 걸 축하드려요. 영앤생의 어떤 점이 높이 평가되었다고 생각하시나요.
Congratulations on becoming a semi-finalist for the LVMH Prize. What aspects of Young n Sang do you think were most highly recognized?
A ‘에이지리스 웨어’라는 새로운 장르를 높이 평가했다고 생각해요. LVMH 프라이즈에서 평소 동경해 오던 안나 윈투어 <보그> 편집장님을 뵀을 때, “에이지리스 디자인은 영앤생에서 시작(originate) 되었다”고 말씀을 해주셨는데, 그동안 해왔던 일을 인정받은 것 같아 감사했어요.
We believe it was the new genre of ‘Ageless Wear’ that was highly appreciated. When we met Anna Wintour, the editor-in-chief of Vogue whom we’ve long admired, at the LVMH Prize event, she told us “Ageless design originated from young n sang.” It felt like a recognition of all the work we’ve been doing, and we were truly grateful.
2025년 LVMH 프라이즈 세미파이널리스트에 오른 영앤생(young n sang)의 홍영신 대표(맨 오른쪽)가 안나 윈투어 <보그> 편집장(왼쪽에서 두번째)에게 컬렉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출처: 영앤생)
Hong Young-shin, founder of young n sang (far right) and a semifinalist for the 2025 LVMH Prize, is seen explaining the collection to Anna Wintour, Editor-in-Chief of Vogue (second from left). (Source: young n sang)
Q 에이지리스 웨어라는 개념을 브랜드와 접목하게 된 계기가 궁금해요.
What inspired you to incorporate the concept of Ageless Wear into your brand?
A 10년 전, 길을 걷다 되게 멋있는 할아버님을 뵀어요. 어떻게 살아오셔서 지금의 멋을 갖고 계신지가 궁금해지더라고요. 자연스럽게 ‘나도 나이 들면 젊은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는 누군가가 되면 좋겠다’라는 생각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이것이 에이지리스 디자인을 하게 된 계기가 되었던 것 같아요.
About ten years ago, I saw this incredibly stylish elderly gentleman walking down the street. I found myself wondering what kind of life he had lived to carry such a distinct sense of style. That moment naturally led me to think, “I hope I can become someone who inspires younger people when I grow older too.”
I think that thought became the seed for what eventually grew into our focus on ageless design.
Q 에이지리스 웨어의 핵심 요소는 무엇일까요? 지속 가능성과 어떻게 연결이 되는지.
What defines Ageless Wear? And how does it connect with sustainability?
A 처음 브랜드를 전개할 땐 지속 가능한 재료 사용에 초점을 맞췄어요. 주로 오가닉 및 재활용 원단을 썼었죠. 그러나 재료에만 신경 쓰는 일은 한계가 있다고 느껴졌어요. 이러한 이유로 ‘나이가 들어도 계속 입고 싶은 디자인’을 해야겠다고 생각했고, 이를 기반으로 나이에 구애 받지 않는 ‘에이지리스 디자인’을 구현하게 되었습니다.
LVMH 프라이즈에 갔을 때도 많은 전문가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어요. 그때 나온 주제가 ‘고령화’였는데, 앞으로 고령화로 인해 많은 산업군의 고객층의 연령대가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있었어요. 패션 업계에서는 ‘시니어 패션’이 아닌 ‘에이지리스 웨어’, 즉 나이에 상관없이 즐길 수 있는 패션이 좋은 대안이 될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죠. 패션지 비즈니스오브패션(Business of Fashion, BOF) 대표 임란 아메드와 해당 주제로 대화했을 때, 본인도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해 지속적으로 취재해 왔었다고 얘기하며 공감대를 형성했었어요.
When we first launched the brand, we focused on using sustainable materials—mostly organic and recycled fabrics. But we soon realized that caring only about materials had its limits. That’s when we started thinking, “We need to create designs people want to wear even as they age.” That idea became the foundation for our age-neutral, timeless approach to design—what we now call ‘Ageless Wear’.
When we attended the LVMH Prize, we had many conversations with industry professionals about sustainability. One key topic that came up was aging populations. There was a shared analysis that, across many industries, the customer base is expected to skew older due to global aging trends.
In the fashion world, instead of focusing on so-called ‘senior fashion’, many saw Ageless Wear—fashion that can be enjoyed regardless of age—as a compelling and timely alternative.
Especially when we spoke with Imran Amed, the founder of Business of Fashion (BoF), about this very topic, he mentioned that he had also been exploring this issue through his reporting. That shared perspective allowed us to connect on a deeper level.
영앤생의 컬렉션 중 일부. 나이에 구애 받지 않는 디자인이 특징인 ‘에이지리스 웨어’를 핵심 가치로 내세워 컬렉션을 전개하고 있다. (출처: 영앤생)
A selection from young n sang’s collection. Centered around the core value of ‘ageless wear’, their designs are characterized by styles that transcend age. (Source: young n sang)
Q 빈티지 원단을 많이 활용하시는 점이 눈에 띄어요.
young n sang’s use of vintage fabrics really stands out.
A 저희는 ‘예상하지 못한 아름다움(Unexpected Beauty)’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빈티지가 의도하지 않은 아름다움을 찾는 데 큰 도움이 되어서, 디자인에 많이 활용하고 있어요. 기본적으로 빈티지 원단을 고를 때는 조합을 우선시합니다. 어떤 소재, 색, 그리고 프린트가 섞였을 때 예상치 못한 미(美)를 발견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요.
특히 최근 런칭한 ‘스케치 라인’ 컬렉션에 빈티지 원단을 많이 사용했습니다. 말 그대로 스케치하듯 자유롭게 만든 옷이라 정말 재미있게 작업했어요. 그래서 원초적이고 어린아이의 시선에서 나온 듯한 작품이 굉장히 많아요.
The core value for us is ‘Unxpected Beauty’. Vintage materials are a great source of finding unintentional, serendipitous beauty, so we often incorporate them into our designs.
When selecting vintage fabrics, we always prioritize combinations. We ask ourselves: What kind of unexpected beauty can emerge when different materials, colors, and prints are brought together?
That curiosity really shaped our recent ‘Sketch Line’ collection, where we used a lot of vintage textiles.
As the name suggests, the pieces were created as freely as sketching—spontaneous and playful. That’s why many of the designs feel raw, almost like they were made through the eyes of a child. It was such a fun and liberating process.
영앤생의 ‘스케치 라인(Sketch Line)’ 컬렉션 중 일부. (출처: 영앤생)
Pieces of one of young n sang’s collection, ‘Sketch Line’. (Source: young n sang)
Q 원단도 직접 만드시잖아요. 독자적으로 개발한 핸드우븐(Hand-woven) 기술의 원리가 궁금해요.
You also produce your own fabrics. Can you tell us more about the hand-woven technique?
A 베틀로 원단을 짜는 작업인데, 이 기술에 대한 정보가 굉장히 제한적이에요. 그래서 독자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4년이라는 시간을 투자했어요.
먼저 빈티지 울과 원단을 실로 재생산한 다음, 그 실을 베틀에 걸어 한 줄 한 줄 짜요. 영앤생만의 색깔로 재해석한 원단을 만드는 거죠.
It's a weaving process done on a loom, but there’s very limited information available about this technique. That’s why we dedicated four years to developing it independently.
We start by regenerating vintage wool and fabric into yarn, then thread that yarn onto a loom and weave it, line by line. The result is a textile reinterpreted entirely in young n sang’s own language and aesthetic.
영앤생이 4년간 독자적으로 개발한 핸드우븐(Hand-woven) 기술. 기존 원단을 실로 재생산한 뒤, 베틀에 짜 영앤생만의 스타일로 원단을 새롭게 창조해낸다. (출처: 영앤생)
A hand-woven technique independently developed by young n sang over four years. After reproducing existing fabrics into yarn, they are re-woven on a loom to create entirely new textiles in young n sang’s unique style. (Source: young n sang
Q 옷을 제작하는 시간이 많이 지연될 것 같은데… 이러한 단점을 상쇄시키는 핸드우븐 기술만의 장점이 있나요?
It sounds like working on your collection with this technique would take quite a bit of time. Are there any advantages to hand-woven fabric that outweigh the drawbacks?
A 기본적으로 핸드우븐 기술이 어려움이 많죠. 원단을 손으로 땋을 때, 정말 도 닦는 느낌으로 해요. (웃음)
그래서 옷 한 피스를 만드는 데 아무리 빨라도 일주일의 시간이 걸려요. 그러나 비효율적인 과정과 노력, 시간을 거치고 나면 아름다운 작품이 만들어져요. 다 만들고 난 뒤, 이를 바라봤을 때 느끼는 뿌듯함이 단점을 상쇄해요.
애초에 핸드우븐 원단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던 이유는, 저희 상상에만 존재하던 옷을 실물로 표현하고 싶었기 때문이에요. 전에는 공장에서 생산된 원단 스와치를 공수하여, 스와치끼리 서로 맞춰가며 디자인했었는데, 조금 더 원초적인 디자인에 가깝게 다가가고 싶었어요. 어떠한 실을 사용하여 어떻게 섞어서 짜는지, 어떠한 조직의 간격으로 옷감을 짜는지, 베틀에 실을 걸어 짤 때 얼마큼의 힘을 들여 직조할지 등 다양한 부분을 실험하며 영앤생만의 원단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There are definitely many challenges when it comes to hand-weaving. Honestly, the process feels almost meditative—like we’re polishing our minds with each thread. (laughs)
It takes at least a week to complete a single piece, even when we work quickly. But once we go through that inefficient process—investing our effort, time, and care—what comes out is something truly beautiful. The sense of fulfillment we feel when we see the finished piece makes it all worth it.
We originally developed our hand-woven technique because we wanted to bring to life garments that existed only in our imagination.
Before that, we were working with factory-produced fabric swatches—matching one with another to come up with designs. But we wanted to get closer to a more raw form of design.
So now we experiment with everything—from which yarns to use and how to blend them, to the spacing of the weave, and even how much tension to apply when threading the loom. Every detail is part of creating fabric that is uniquely young n sang.
영앤생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아뜰리에 전경. (출처: 영앤생)
the atelier where young n sang’s creative work takes place. (Source: young n sang)
Q 상상과 다른 결과물이 나올 때는 어떤 마음가짐으로 받아들이시나요?
There must be times when the final result turns out differently than you imagined. How do you approach those moments?
A 실패 속에서 다른 길이 보인다고 생각해요. 아무래도 수작업이 많다 보니, ‘실패’할 때도 있지만, 되려 다른 방식으로 적용하거나 응용할 수 있는 ‘길’이 되기도 하죠. 이러한 과정 속 많은 실패가 저희에겐 양분으로 작용해요.
저희가 좇는 ‘예상치 못한 아름다움’을 찾을 때도 일맥상통해요. 이런 과정이 부재하면, 결과물을 도출할 수 없기 때문에 과정을 즐기는 편이에요.
We believe that failures often lead us to new paths. Since so much of our process is done by hand, there are naturally moments when things don’t go as planned. But those “failures” often open up new ways of applying or adapting an idea—we see them as opportunities.
In fact, these unexpected turns align perfectly with our pursuit of Unexpected Beauty. Without these moments, we wouldn’t arrive at the outcomes we cherish. That’s why we choose to enjoy the process itself.
Q 옷을 오래 입는 것을 지향하시잖아요. 오래 입는다는 것의 매력이 무엇이라 생각하세요?
Your brand emphasizes wearing clothes for a long time. What do you think is the appeal of that?
A 특정 시절에만 나오는 자재와 재료만의 특성이 있잖아요. 오래 소유하고 있으면, 유일한 피스가 되기도 하고 세월의 때가 묻어요. 저희가 가장 좋아하는 것이죠.
오래 입는 행위는, 세대를 잇는 교두보가 되기도 해요. 보통 부모님과 조부모님 세대와 이야기를 할 때 ‘음식’이라는 주제로는 교감을 할 수 있잖아요. 반대로 패션이라는 주제로 대화를 하기는 어려워요. 옷에 대해 공감하는 부분이 다르니까요. 그런데 오래 입는 옷을 중심으로 동떨어진 세대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 거라 믿어요. 이런 주제로 교류하다 보면 서로를 더 잘 이해하는 매개체가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Every era has its own materials and textures—details that can’t be replicated. When you hold onto a piece long enough, it becomes unique, shaped by time. That’s something we truly love.
Wearing clothes over time also creates a bridge between generations. When we talk to our parents or grandparents, we can usually connect through food—but with fashion, it’s harder. The way each generation relates to clothing is different. But we believe that clothes with longevity can become a shared point of empathy, even across age gaps. Through conversations about these garments, we might find ways to better understand each other.
At young n sang, we believe true beauty is something that transcends age and gender. If people from different generations can all look at the same piece and say, “That’s beautiful,” then that, to us, is great design.
이태원의 앤틱 가구거리에 위치한 영앤생 쇼룸에서 만난 홍영신(왼쪽), 이상림(오른쪽) 디자이너. 이들 뒤쪽으로는 핸드우븐 원단을 만들기 위한 베틀이 놓여져 있다.
Designers Hong Young-shin (left) and Lee Sang-rim (right) at the young n sang showroom, located on the antique furniture street in Itaewon. Behind them stands a loom used to create their hand-woven fabrics.
쇼룸이기도, 따뜻한 수프를 대접하는 카페이기도 한 영앤생 쇼룸.
직접 개발한 베틀의 장비 일부를 옷걸이로 재해석하고, 직접 손으로 짠 실의 틀로 쇼윈도로 장식하는 등 수작업의 생생한 현장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 서배너(Savannah) 유학 시절의 추억을 고스란히 옮겨 담은 영앤생만의 수프 맛이 궁금하다면, 주말 동안만 운영되는 수프카페에서 즐길 수 있다.
young n sang’s showroom doubles as a warm, welcoming soup café on the weekends. The brand’s space is a living reflection of Youngshin and Sanglim’s handcrafted philosophy.
Elements of their custom-built loom have been reimagined as clothing racks, and hand-woven yarn frames adorn the shop windows—offering visitors a tangible glimpse into their creative process.
If you’re curious about the flavor of young n sang’s signature soup—infused with memories from their study abroad days in Savannah, Georgia—you can try it at their soup café, open only on weekends.
서울시 용산구 녹사평대로 26길 42
목,금 14:00 -22:00
토, 일 11:00 – 18:00 pm
42, Noksapyeong-daero 26-gil, Yongsan-gu, Seoul
Thu–Fri: 2:00 PM – 10:00 PM
Sat–Sun: 11:00 AM – 6:00 PM
지속 가능한 패션에 대한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싶다면?
EDITOR 유혜정 홍승영
2025.05.20
CIRCULAR CLUB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