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LLENGER 허윤선 디렉터 Director Hur Yoon Sun
패션 매거진 얼루어 코리아(이하 얼루어)의 피처 디렉터 허윤선은 10여 년간 에디터로 활동하며, 국내외 아티스트의 커버와 화보 촬영, 인터뷰 등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이야기를 자신만의 언어로 풀어내 왔다. 바쁜 마감 틈틈이 『읽는 사람』, 『그림과 문장들』 같은 책을 펴내며, 문화와 일상을 글로 담아내는 작업 또한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글을 쓰는 에디터’와 ‘환경’이라는 키워드 사이에 어떤 접점이 있을까 의문이 들 수 있다. 그러나 허윤선 디렉터가 전하는 글은 우리가 누리는 패션과 일상을 초록빛으로 물들이는 힘을 지닌다. 화려함뿐일 것 같은 패션 매거진에서 허윤선 디렉터는 패션 산업 뒤편에 웅크리고 있는 환경 문제를 지속해서 다뤄왔다. 패션 브랜드는 물론, 책과 카페, 식당, 자동차, 여행까지 — ‘동시대의 삶’과 ‘환경’의 연결고리를 글로 섬세히 엮어 여성 독자의 공감대를 끌어낸다.
그가 쓴 기사를 따라가다 보면, ‘환경을 생각하는 삶’이 멀고 복잡하지 않다는 걸 체감한다. 일상을 살아가며 조금씩 변화할 수 있는 용기를 건네받기도 했다. 지구와 일상이 함께 아름다워질 수 있다는 굳건한 믿음을 가지게 된 배경을 엿보았다.
Hur Yoon Sun, feature director of the fashion magazine Allure Korea (hereafter Allure), has spent over a decade as an editor, crafting stories across a wide range of subjects through her own distinct voice—whether it’s cover shoots, photo editorials, or interviews with artists from Korea and abroad.
At first glance, one might wonder what kind of overlap exists between the roles of a fashion editor and an advocate for the environment. But the question quickly fades when reading Hur’s work. Within the glossy world of fashion magazines, she has persistently shed light on the environmental issues lurking behind the scenes of the fashion industry. From fashion brands to books, cafés, restaurants, cars, and travel—she delicately weaves connections between contemporary life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striking a deep chord with her female readership.
As you follow her articles, it becomes clear that living with the environment in mind is neither distant nor complicated. Her words gently offer the courage to begin making small, meaningful changes in daily life. We set out to learn more about her steadfast belief that the planet and our everyday lives can grow beautiful together.
Q <얼루어>에서만 10년 이상 지나셨어요. 그전의 경험까지 합치면 꽤 오랜 시간 에디터로 지내오셨는데, 에디터만의 매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You’ve been with Allure for over 10 years now. Including your earlier experiences, you’ve spent quite a long time as an editor.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appealing aspect of being an editor?
A 에디터는 지금 우리가 사는 순간을 포착해 많은 오디언스에게 알리는 역할을 해요. 그래서 연차와 상관없이 자신이 기획하고 담당한 화보와 기사를 책임지며 많은 경험을 쌓을 수 있죠. 에디터만의 매력은, 원하는 만큼 취재를 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그것이 작가와 구분되는 점이기도 합니다. 배우, 아이돌, 작가와 같은 아티스트부터 브랜드, 기업에 질문하고 답을 들을 수 있거든요. 제가 생각하는 멋진 브랜드와 사람, 작품을 응원할 수 있다는 것도 보람 있는 일입니다. 에디터라는 직업에 흥미를 같은 ‘젠지(Gen-z)’ 세대가 많은데 사실 에디터는 스스로 돋보이는 직업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반대로 다른 사람을 돋보이게 해주죠.
An editor’s job is to capture the moment we’re living in and share it with a broad audience. Regardless of how many years you’ve been in the field, you get to take full responsibility for the features and photo shoots you plan, which gives you the chance to accumulate a lot of hands-on experience. What I find most appealing is that editors can report and research as much as they want—that’s something that sets us apart from writers. We can ask questions and have conversations with artists like actors, idols, and authors, as well as with brands and companies. It’s rewarding to support the people, brands, and works I admire. A lot of Gen Zs seem to be interested in the editor role these days, but I personally don’t think it’s a job that puts the spotlight on yourself. On the contrary, it’s about helping others shine.
Q 한 사람의 이야기를 세상 밖으로 끄집어내는 건 섬세함을 요구하는 일일 것 같아요. 원고를 쓸 때, 늘 지키고자 하는 법칙이 있으실까요?
Drawing out someone’s story and sharing it with the world must require a great deal of sensitivity. Do you have any personal rules you stick to when writing?
A 저 자신이 더 멋있고, 똑똑해 보이기 위해 없는 이야기를 지어내거나 조작하는 않아요. 특히 인터뷰를 할 때 해당되죠. 제 자신을 내세우기보다 인터뷰하는 인물의 자연스러운 매력과 생각, 콘텐츠의 기획 의도를 잘 전달하려고 노력합니다.
I never make things up or manipulate stories just to make myself look smarter or more impressive—especially when it comes to interviews. Rather than focusing on myself, I try to faithfully convey the natural charm, thoughts, and intentions of the person I’m interviewing or the concept behind the content.
<얼루어>는 2009년부터 매년 4월호를 ‘그린 이슈’로 선보이며, 한 권 전체를 환경과 지속 가능성을 주제로 채워왔다.
Allure Korea has been presenting the "Green Issue" every April since 2009, filling the entire issue with themes of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Q 환경에 대한 이야기를 꾸준히 다뤄오셨어요. 특히 매년 4월엔 매거진 한 권 전체를 ‘그린 이슈’로 채우시더라구요. ‘지속 가능성’과 ‘환경’이라는 주제를 선정하여 다루시게 된 계기가 무엇이었을까요?
You’ve consistently covered environmental topics, and I noticed that every April, you dedicate an entire issue of Allure to a “Green Issue.” What inspired you to start focusing on sustainability and the environment?
A 저는 매거진은 그 시대를 담는 최소한의 교양이라고 생각해요. 패션, 뷰티, 문화 등 전반에서 그렇죠.
<얼루어>는 패션 매거진인 동시에 현실을 사는 여성을 다루고 있어요. 그래서 ‘현실에 가장 단단하게 발을 딛고 있는 매거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기후 위기, 환경, 지속 가능성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었죠. 이건 이미 우리 삶의 일부니까요. 동시대를 사는 여성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소재를 찾고, 이러한 주제를 여성의 현실적인 삶과 연결하는 매거진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해요.
I believe a magazine is a reflection of the times and a minimum form of cultural literacy. That goes for fashion, beauty, and culture.
Allure is a fashion magazine, yes, but it also speaks to women living in the real world. That’s why I see it as a magazine that keeps its feet firmly planted in reality. And because of that, we simply can’t avoid topics like the climate crisis, the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they’re already a part of our daily lives. I think it’s the magazine’s role to connect these timely topics with the realities of women’s lives.
Q 환경의 가치를 전달하는 데 어려움은 없으신가요?
Has it been challenging to convey the value of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your work?
A <얼루어>는 거의 20년 가까이 환경 주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새로 합류한 에디터는 이런 말을 많이 들어요. “그건 예전에 이미 했어”, “이 정도 내용으로는 안 돼”. 그만큼 이미 많은 내용을 다뤘기 때문에 항상 새롭고 좀 더 깊이 있는 것을 탐구하려고 해요. 항상 기획과 섭외가 가장 어렵습니다.
Allure has been covering environmental topics for nearly 20 years now, so when new editors join, they often hear things like, “That’s already been done,” or “That topic’s not strong enough.” Because we’ve covered so much already, we always aim for stories that are newer and more in-depth. Planning and sourcing the right content are always the hardest parts.
2025년 4월호 <얼루어 코리아> 준비 과정. 뷰티, 피처, 패션 에디터가 각 분야에서 논문을 찾고, 해외 아티스트와 긴밀하게 소통하며 친환경 라이프스타일을 다룬다.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April 2025 issue of <Allure Korea>. Beauty, feature, and fashion editors are researching papers in their respective fields and collaborating closely with international artists to cover eco-friendly lifestyles.
Q 환경을 이야기하는 많은 매체 중, <얼루어>만의 차별점은 무엇일까요?
Among the many platforms talking about the environment, what sets Allure apart?
A 현실적인 매체라는 점이요. 우리 일상과 가까이 있는 것을 취재하는 걸 중요하게 생각해요. 그러다 보니 패션 잡지가 잘 이야기하지 않는 인물이나 산업도 적극적으로 다루어 왔어요. 이를테면 비엠더블유, 싱가포르 항공, 메리어트 인터내셔널과 같은 기업의 지속 가능성 정책과 관련하여 인터뷰하기도 했는데요. 필연적으로 탄소를 발생하는 산업은 이를 어떻게 해결하는가를 들어보려고 했습니다. 패션지에서 다룰 내용인가 싶으실 수 있지만 이들 산업은 우리 일상과 아주 밀접하게 닿아있기에,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었어요. 일상을 반영하면서도 패션 매체가 잘 조명하지 않는 이야기까지 전하기 위해 늘 고민합니다. 그래서인지 ‘그린 이슈’가 발간되는 4월호는 항상 구해서 본다는 브랜드도 있어요.
I think it’s our grounded approach. We prioritize covering stories that are close to everyday life. That’s why we’ve covered industries and people that fashion magazines don’t usually feature. For example, we’ve interviewed companies like BMW, Singapore Airlines, and Marriott International about their sustainability policies. Some might wonder if this is appropriate content for a fashion magazine, but these industries are deeply connected to our daily lives, and I wanted to hear their stories. We always aim to reflect real life and spotlight topics that other fashion outlets might overlook. There are even brands that make sure to pick up the April “Green Issue” every year because of this.
허윤선 디렉터가 2024년에 탄소중립을 주제로 다룬 친환경 기사. 여행, 자동차와 같이 패션과 뷰티를 넘어 여성의 일상과 맞닿은 다양한 주제를 폭넓게 담았다. (출처: 얼루어 코리아)
An eco-conscious feature by Director Hur Yoon-Sun in 2024, centered on carbon neutrality. It goes beyond fashion and beauty, covering a wide range of topics connected to women’s everyday lives, such as travel and automobiles. (Source: Allure Korea)
Q 다루시는 주제가 광범위한 만큼, 소재를 정하는 게 쉽지 않을 것 같아요. 독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기사 주제를 고르는 비법이 있나요?
With such a wide range of topics, I imagine selecting the right subject matter can be difficult. Do you have a strategy for choosing story ideas that resonate with readers?
A 사실은 1년 내내 소재를 찾아요. 그래서 “이런 걸 다뤄 봐야지”, “이런 뉴스를 취재해 봐야지”라는 생각이 들면 폴더에 자료를 모아요. 단기적으로 기획안이 나오는 건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기자는 평상시에도 기획안을 써야 한다”는 얘기를 저도 초년생 때부터 들어왔습니다. 환경과 관련된 아이템만큼은 평소에 관심 있게 보고, 찾고, 수집해요. 해외여행을 가도 그곳에 친환경적인 공간이 있다면 꼭 방문해 보는 편이에요.
Honestly, I gather material year-round. Whenever something sparks my interest—an idea or a piece of news—I save it in a folder. It’s hard to come up with strong ideas on the spot, so I’ve always believed that editors should be planning constantly, even in their daily lives. Especially for environmental content, I keep my eyes open, actively search, and collect information. Even when I travel abroad, if there’s an eco-conscious spot, I make a point to visit.
Q 최근에 발굴하신 공간이 있으시다면.
Is there a place you’ve discovered recently that left a lasting impression?
A 작년 연말에는 홍콩에서 제로웨이스트 숍을 방문했어요. 사이잉푼 지역에 있는 홍콩 최초의 제로웨이스트 샵 ‘Live Zero’가 좋았어요. 국내에도 제로웨이스트 숍이 있지만 해외 매장은 또 새로운 제품이나 구성을 볼 수 있거든요.
요즘은 교토에 자주 가는 편인데, 채소만으로 이루어진 코스를 맛볼 수 있는 교토 에이스 호텔의 레스토랑 ‘KOSA’가 기억에 많이 남아요. 워낙 교토가 채소로 유명한 곳인데, 전통적인 오반자이(반찬) 대신 테이스팅 코스로 표현하는 노력이 좋았고, 진짜 맛있어요. 지난달 방문한 데사 포테이토 헤드는 제로웨이스트 스테이가 가능할 정도로 대부분을 리조트 안에서 재활용하는 곳이라 또 인상 깊었습니다.
강원도 속초에 가면 조용한 비건 카페 ‘루루흐’를 즐겨 찾습니다. 어디서나 ‘디깅’하는 걸 좋아해요. 이 골목, 저 골목을 오가며 다녀온 공간을 기록하고, 아이디어를 정리하곤 해요. 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취재로 연결되기도 합니다.
At the end of last year, I visited Hong Kong’s first zero-waste shop, Live Zero, located in the Sai Ying Pun area. While we do have zero-waste shops in Korea, international ones often have unique products and layouts, which make for interesting discoveries.
Lately, I’ve been visiting Kyoto frequently, and the restaurant KOSA at the Ace Hotel stood out—it offers a tasting course made entirely from vegetables. Kyoto is known for its produce, and I loved how they expressed it in a modern course format rather than traditional obanzai (side dishes). It was genuinely delicious. I also recently stayed at Desa Potato Head, a resort that practices zero-waste hospitality—it recycles almost everything on-site.
In Sokcho, there’s a quiet vegan café called Rurureu that I like to visit. I enjoy exploring, wandering through alleyways and neighborhoods, discovering spaces firsthand, documenting them, and shaping new ideas. That often naturally turns into a story.
직접 방문한 홍콩 최초의 제로웨이스트 숍 ‘Live Zero’의 모습 (출처: 허윤선)
A glimpse of Live Zero, Hong Kong’s first zero-waste shop, personally visited. (Source: Hur Yoon-sun)
Q 기사 아이템을 발굴한 뒤, 콘텐츠 기획을 하실텐데요. 패션을 사랑하는 사람이 ‘환경’과 ‘지속 가능성’까지 관심을 가지려면 어떤 콘텐츠를 만들어야 할까요?
Once you’ve found a topic, you go on to plan the content. What kind of content do you think would help fashion lovers take an interest in sustainability?
A 관심은 이어지기 마련이에요. 환경 문제를 고민하는 사람은 제로 웨이스트 생활에도, 지속 가능한 패션에도, 플랜트 베이스 음식에도 흥미를 느껴요. 패션과 뷰티를 사랑하는 사람도 이 지구에 해를 끼치고 싶어 하지는 않아요. 그렇다고 새 옷을 사지 않거나, 화장품을 쓰지 않을 수는 없죠. 그래서 저희 콘텐츠는 항상 ‘새로운 한 가지를 해보라’고 말합니다.
좋은 이미지와 영상으로 보기 좋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도 중요해요. 요즘은 글보다 ‘비주얼’의 시대이기 때문이에요. 지속 가능한 것이 예쁘고 쿨하기도 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굉장히 노력합니다. 마지막까지 최고의 이미지를 만들고 선택하기 위해 신경 쓰죠.
Interests tend to flow together. People who care about environmental issues are often also interested in zero-waste living, sustainable fashion, and plant-based eating. Likewise, people who love fashion and beauty don’t want to harm the planet—but that doesn’t mean they’ll stop buying clothes or using cosmetics altogether. That’s why our message is always, “Try just one new thing.”
And we work hard to deliver our messages through beautiful images and videos. It’s a visual era more than a textual one, and we want to show that sustainability can also be stylish and cool. We really take care to choose the best images right up to the end.
Q 지속 가능하면서도 아름다운 건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Do you think it’s possible for something to be sustainable and beautiful at the same time?
A 예전에 건축가 프랭크 게리에게 친환경 건축에 대해 물었더니, “친환경 건물도 좋지만, 그 건물이 못생기면 누가 그걸 좋아하겠느냐”고 하더군요. 사실 그렇죠. 지속 가능성만으로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순 없다고 생각합니다. 반면, 세상을 더럽히고 해를 끼친다면 과연 그것을 아름답다고 할 수 있을까요? 많은 사람이 가치 소비에 관심을 기울이는 만큼, 앞으로는 더욱 지속 가능하면서도 아름다운 것이 세상을 지배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I once asked architect Frank Gehry about eco-friendly architecture, and he said, “Sustainable buildings are great, but if it’s ugly, who’s going to like it?” And I completely agree. I don’t believe sustainability alone is enough to win people over. But on the flip side—if something pollutes and harms the world, can we really call it beautiful? As more people embrace conscious consumption, I believe we’ll see a world where sustainability and beauty go hand in hand—and that world will shape what’s to come.
Q 오랜 시간 환경과 지속 가능성을 다루시다 보니, 가치와 철학이 어느새 디렉터님의 삶에 자연스럽게 녹아 든 느낌이에요.
You’ve spent so much time covering sustainability and the environment that these values seem to have naturally become a part of your lifestyle.
A 결국 자신이 경험하고 다루는 내용에 동화하기 마련이에요. 그래서인지 저뿐만 아니라 <얼루어>편집부 모두 환경에 관심이 높은 편이에요. 저도 마찬가지로 과거와 비교했을 때 많이 바뀌었어요. 저도 옷을 좋아하거든요. 근데 SPA 브랜드 소비를 끊은 지는 4~5년 됐어요.
어렸을 때는 저렴한 온라인 쇼핑몰이 없었고 백화점이나 보세만 있었어요. 그렇다 보니 과거에 값이 조금 나가더라도 구매한 질 좋은 제품이 많아요. 대학생 때는 브랜드 폴로가 유행이었는데, 정말 오래 입었거든요. 20년째 입고 있는 재킷이나 스웨터도 많아요. 그래서 아예 소비를 끊을 수 없다면 오래 지속되는 상품을 선택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A When you spend your days immersed in certain subjects, they inevitably start to shape your own life. And I think that’s true for the whole Allure team—we all care deeply about environmental issues. I’ve changed a lot, too, compared to the past. I’ve always loved clothes, but I stopped shopping at fast fashion brands around four or five years ago.
When I was younger, we didn’t have online stores to buy cheaper items, so I often bought better-quality pieces even if they were a bit pricey. I still have a lot of those clothes. For example, Polo was a big trend when I was in college, and I wore those pieces for a long time—some jackets and sweaters I’ve had for 20 years. So, if we can’t completely stop consuming, I believe we should at least choose things that last.
성수동의 한 촬영장에서 지속 가능한 캐시미어 브랜드 르캐시미어를 착용한 모습. 오래 입을 수 있는 옷을 선택하며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Wearing the sustainable cashmere brand LE CASHMERE at a shoot in Seongsu-dong, she shows her commitment to choosing long-lasting clothing and minimizing environmental impact
Q 그렇다면 <얼루어> 내에서는 어떠한 변화가 일었나요?
Have you seen any changes within Allure itself?
A 최근에 어시스턴트를 새로 뽑았는데, 의류를 새로 사기보다는 대부분 빈티지 가게나 당근마켓에서 구매한다고 하더라고요. 그렇다 보니 <얼루어>에 지원하게 되었다고 해요.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하는 <얼루어>라는 매체에 몸 담기를 선택한 것처럼, 환경 문제에 대한 메시지를 누군가는 보고 공감하고 있다는 뜻으로 받아들였어요.
We recently hired a new assistant who told me they mostly shop vintage or through secondhand platforms like Danggeun Market, instead of buying new. That’s actually what inspired them to apply to Allure. I took it as a sign that the messages we’re sending about sustainability are being seen and resonating with people.
2008년부터 매년 4월호와 연계해 진행해온 ‘얼루어 그린 캠페인’ 오프라인 이벤트 현장. 국내 다양한 친환경 브랜드를 비롯해 패션·뷰티 피플, 아티스트, 셀러브리티, 환경운동가와 오디언스가 함께하는 <얼루어>의 대표 친환경 페스티벌이다. (출처: 얼루어 코리아)
Since 2008, Allure Green Campaign has been held annually in connection with the April issue. It is Allure’s flagship eco-friendly festival, joined by a wide range of local sustainable brands, fashion and beauty insiders, artists, celebrities, environmental activists, and the public.
Q 지속 가능성이 점점 대세가 되어가네요!
Seems like sustainability really is becoming the new standard!
A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는 기업과 브랜드는 도태하는 시대예요. 세계적으로도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만큼, 지속 가능성은 이미 ‘대세’라 생각합니다!
I think we’re living in a time where companies and brands that ignore sustainability will simply be left behind. With environmental regulations tightening around the world, sustainability isn’t just a trend—it’s already the norm.
CHALLENGER가 입은 지속 가능한 취향이 궁금하다면?
EDITOR 홍승영, 유혜정
2025.04.22
CHALLENGER INTERVIEW
모두가 지속 가능한 패션을 취향껏 즐길 수 있도록
패션 생태계에서 변화를 일궈내는 사람들,
CHALLENGER의 이야기를 보다 깊이 나눕니다.
지속 가능한 패션에 도전하는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지속 가능한 취향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고 싶다면?
CIRCULAR CLUB ⓒ All Rights Reserved